SMALL

06. 아이비 생각 143

진보란 무엇일까?

《 진보란 무엇일까? 》 17세기만 하더라도 유럽 사람들의 생각의 저변에는 고대 그리스 시절에 찬란한 문명이 꽃피웠던 황금시대가 있었고 황금시대에는 현명한 사람들이 많아 17세기 유럽사람들 보다 현명하였고 그때의 이상적인 모습에 진한 향수를 느꼈다고 한다. 그도 그럴것이 당시 철학이나 과학적인 사고의 기저에는 아리스토텔레스 생각이 깔려있었던것이고 이를 부정하는것은 쥐뿔도 모르는 후대의 사람들이 황금시대때의 현자들의 생각에 도전하는것이어서 금기시 되어왔던것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라는 강력한 사상체계가 수천년간 인간의 사고방식을 점령해왔었지만 단순한 과학적 사고와 인간의 지적 호기심과 탐구심으로 인하여 인간은 드디어 자신들이 과거의 사람든 보다 더 많이 알수 있다고 확신을 하였고, 자신들의 후손들이 더 ..

교육의 중요성이란..

수백년, 수천년전의 인물중에 어릴적부터 어린아이 답지 않게 세상 판세를 잘 읽고 의젓하고 똑똑한 사람들이 많이 나온 반면에 현대에는 청년이나 중년이 넘어 가까스로 재능을 꽃피는 모습들이 많이 보이는데 왜 그럴까? 그것은 아마도 교육의 영향이 크지 않을까 싶다. 우리는 사서삼경이나 삼강오륜을 그저 달달 외우는 유교 경전과 같은것이라 생각하지만 그 속에는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면 좋을지에 대한 정리되고 검증된 엑기스가 듬뿍 담겨있기에 세상에 대한 경험이라곤 일천한 아이들이 그러한 엑기스를 공부하고 의미를 깨닫는 훈련을 집중적으로 하다보니 나이에 걸맞지 않은 그런 인물들이 출현하는게 아닐까 싶다. 그렇다면 현대에는 어릴적부터 생각이 깊은 아이들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전인교육의 미명 아래 깊은 ..

꼰대장이들에게 고함

직장에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있는 4~50대 남성들이 가지고 있는 착각중의 하나가 자기가 자기 스스로 대단하다고 느낀다는것이다. 그들중에는 크지는 않아도 조직의 장(長)인 경우도 있어 별도의 인사권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조직의 장이란 위치에 올라가기 위해 자신만의 스토리가 있기에 더욱더 그런 생각을 할것이다. 하지만 그런 생각은 본인이 직장이란 간판의 배경속에서 그러한 위치에 있을때나 통하지만 회사품을 떠나게 되면 전혀 효력이 없게된다. 게다가 자신의 우월적인 지위는 길어봐야 5년을 채넘기기 힘이 든다. 다시 말해 유통기한이 있다는것이다. 상황이 위와 같지만 어리석은 사람들은 알량한 지위적 우월감으로 천둥벌거숭이 마냥 전횡(?)을 일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매우 위험한 행위이다. 왜냐하면 그 나이대에..

내로남불에 대해서..

《 내로남불에 대해서.. 》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의 저자인 일본 철학자 오구라 기조는 한국인의 특성에 대해서 도덕 지향적이나 도덕적이지 않다라는것을 지적하였다. 다시 말해 한국사람들은 타인들에게 도덕적으로 보이고 싶어하나 실제 하고 있는 행동들은 전혀 도덕적이지 않다라는것이다. 오구라기조의 그러한 일침은 한국인들의 나는 괜찮지만 남들은 안된다는 내로남불 특성과 잘 연관이 되었고 이는 결국 뻔뻔스러움으로 귀결이 된다. 특히 조선시대 내내 주자학이란 오랜 성리학적 사고 체계에 길들여진 도덕적이지는 않으나 도덕지향성의 한국인의 특징은 일제와 군사정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사고의 틀을 해체당하는 과정을 겪었으나 수천년간 아리스토텔레스 사고방식에 지배받아 정설인 지동설이 아닌 천동설을 지지한 서양사고 체계처럼 이땅..

나의 보랏빛 미래를 꿈꾸며..

나는 나르시즘 환자는 아니지만, 나는 나를 사랑한다. 별볼일 없는 나이지만 그래도 나는 나를 사랑한다. 아무리 사람들이 나를 무시하고 업신여기고 주변의 틀어진 상황으로 인해 멘붕이 오는 상황이라도 나는 나를 사랑한다. 나를 사랑한다는 것은 단순한 자아도취가 아니라,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을 낙관적으로 보고 나의 미래가 보랏빛 향기날것이라는 강렬한 믿음때문이다. 물론 본인의 성격이 낙관적이라서 미래가 낙관적이라 할수는 없겠지만, 최소한 본인의 성격이 낙관적이어야만 그것을 믿고 본인이 그리는 낙관적인 미래로 나아갈수가 있기 때문이다. 1800년 초반에 태어나서 1900년 초반에 사망한 공상과학 소설가인 쥘베른은 당시에는 없었지만 현재에는 존재하는 수많은 첨단 장비등을 그의 소설에 담아내어 이야기 거리를 만들었..

개 꼰대짓의 시전

《 개 꼰대짓의 시전 》 정말 부끄럽지만 직원들 업무 태도 방식이 너무 마음에 들지 않아 어제 새벽 3시에 회사 단톡방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올렸다. 내가 S사 수준의 업무관리를 요구하는것도 아니지만 S사에서 업무관리를 빡시게 배워온 내가 봤을때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마음에 안들어 나도 모르게 개꼰대짓을 해버렸다. 나도 어쩔수 없이 Latte was horse..라 하니 마음이가 착찹하다. 1. 납기 개념이 전혀없음 - 마감 일정이 정해졌으면 그 일정을 맞추기 위해 사전 관리해서 그 일정을 지키려는 노력이 전혀없음 - 일정이 되어서 확인해보면 그제서야 일이 안되었다고 하는게 다반사.. 그러니 일이 매번 늦어지고 매번 허둥지둥 되는것 - 지난주까지 ○○ 완료하겠다고 각..

나만의 회고록을 만들고 싶다.

언젠가 회고록 같은것을 한번 써보고 싶다. 너가 무슨 대단한 놈이기에 건방지게 회고록이냐?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수많은 대중들에게 읽히기 위한 그런 회고록 말고 내가 정말 사랑하고 아끼는 지인들에게 "여러분 덕분에 저 이렇게 잘 자랐어요~"라는 감사한 마음을 듬북 담은 비매품 회고록을 출간하고 싶다. 물론 회고록에는 "나 잘났어"라는 내용도 삽입이 되겠지만, 지금까지의 어려운 점을 어떻게 잘 극복하였고 지인들에게 어떤 도움을 받아 지금 이 자리에까지 왔는지 담담하게 서술하고 싶다. 특히 인생을 어떻게 살면 좋을지? 갈피를 못잡는 후배님들에게, 오랜 직장 생활을 마무리 하고 새롭게 사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길라잡이가 될수 있는 내용이면 더욱 좋을것 같다. 물론 내 경험이 정답이 될수 없고, 나 역시 계..

나는 아직도 꿈이 고프다..

다음달 12월초 혹은 중순에 있을 중요한 이벤트까지 자잘한 잡무가 많다. 하나 하나 개별적인 내용은 중요하지 않으나, 개별적인것을 하나로 묶으면 중요한게 되어버린다. 따라서 마치 우주로 날라가는 로켓에 있어 나사는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나사가 불량이거나 잘못 체결되면 로켓이 날라가다가 폭파등의 위험이 있기에 여튼 자잘한 업무라 할지라도 커다란 이벤트까지는 정성을 다해야한다. 로켓 이야기가 나와서 그러는데 내가 정말로 존경하는 일론 머스크 형님의 Space X에서 엊그제 Crew Dragon이란 유인 우주선이 발사가 되었다. 우주인은 총 4명이 탑승하였고 우주정거장에서 활동하다가 내려올 예정인데 나는 이런 뉴스를 보고 들으면 막 흥분이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전혀 화제도 안되고 그 흔한 뉴스 클립도 나..

공정과 시기에 대해서

《 공정과 시기에 대해서 》 공정과 시기는 얼핏보면 다른 의미의 단어와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2란성 쌍둥이와 같은 묘한 연관성이 있다. 공정이란 말은 공평하고 형평성에 맞아야 한다라는 의미이고, 시기는 남을 헐뜯고 부러워 하는 마음이 넘쳐 증오를 한다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공정과 시기는 모두 치열한 경쟁에서 유발되어진 것들이다. 왜냐하면 치열한 경쟁없이 모두가 풍족한 상태에서는 누가 조금더 가지고 가더라도 전체 공동체에 피해를 주지 않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는 Room이 있었으나 재화가 부족한 상태에서 그 재화를 얻기 위한 경쟁에서는 엄격한 공정의 룰이 적용이 된다. 게다가 풍족한 재화가 있는 삶에서는 모두가 풍족하기 때문에 남을 시기하는 마음이 생겨나지 않지만, 재화가 부족한 상태에서 그 재화를 얻..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 직장생활할때 나에게 많은 영감을 주셨던 부장님이 계셨다. 당시 중년이셨던 그분은 항상 말끝마다 "C-BAR"이란 말을 입에 달고 사셨다. 처음에는 그 말이 거북하게 들렸으나, 매번 듣다 보니 그러려니 해졌고 어느새 적응이 되어 버렸다. 일종의 말추임새 같은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고 부터 나서이다. 그 분은 생각하는것이 매우 독특하였다. 아니 독특하다기 보다 문제의 본질을 다르게 해석하는 재주가 있으셨고 2수 혹은 3수후의 일까지 생각을 하시는 대단한 전략가셨다. 그분이 나에게 항상 강조하는 것은 경쟁자보다 2보, 3보 앞설 필요가 없다. 단지 반보만 앞서도 경쟁에서 이긴다라는 것을 말이다. 그러고 보면 수많은 경쟁의 룰을 살펴보면 약간의 점수나 기록차에도 1등이 될..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