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평 불만에 대해서 》
잘생긴 정우성에게 못생겼다고 지적해봤자 화를 내지는 않을것이다. 하지만 멍청한 정우성에게 머리 나쁘다고 지적을 하면 정우성은 화를 낼것이다.
똑똑한 김재동에게 멍청하다고 지적해봤자 화를 내지는 않을것이다. 하지만 못생긴 김재동에게 못생겼다 지적을 하면 김재동은 화를 낼것이다.

이런식으로 생각을 해보면..
가난한자에게 가난하다고 지적하면 화를 내고
머머리에게 머리 숱이 없다고 지적하면 화를 내고
냄새나는 사람에게 냄새 난다고 지직하면 화를 낸다.
왜냐하면 자신의 치부를 드러내었기 때문이다.
인간성 심리학을 분석하던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를 5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는데 아래와 같다.
첫째가 생리적 욕구
둘째가 안전의 욕구
셋째가 속함의 욕구
넷째가 인정의 욕구
다섯째가 자아실현의 요구
이중 네번째인 인정의 욕구는 자존감과 관련이 있는것으로, 가지지 못하고 있는 무언가에 대한 결핍으로 사람들은 남에게 인정 받지 못하고 비난을 받을것을 두려워 한다는것이다.
그러기에 사람들은 자신의 결핍에 대한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가 자연스레 발동이 되면서 돈없는 사람들은 돈이 이세상의 전부가 아니다라고 항변하며, 못생긴 사람들은 외모 지상주의를 비난하며, 공부 못하는 사람들은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라고 주장을 하게 되는것이다.
따라서 세상의 불만과 불평의 근원은 자기 마음을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해 자기가 가지지 못한것에 대한 인간 내면의 본능적인 반작용 때문인것이다.
그렇기에 행복해지기 위해선 부자가 되거나, 잘생겨지거나, 공부를 잘하거나 등등 남보다 비교 우위의 무언가를 최소한 하나 이상 확보해두어야 자존감이 확보가 되고 다른것에 대한 결핍이 있어도 자신이 그렇게 불행하다 생각하지는 않을것이다.
'06. 아이비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classic)으로의 복귀 (0) | 2021.02.14 |
---|---|
자본주의 사회를 사는 법 (0) | 2021.02.14 |
사업을 해보면 다 안다. (0) | 2021.02.07 |
인생전략? (0) | 2021.02.07 |
이론과 실제가 다른 이유는? (0) | 2021.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