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01. 아이비 과학 94

굴절율이 동일하면 발생하는 현상

유리 비이커안에 또다른 작은 유리 비이커를 넣고, 어떤 액체를 그안에 붓는다. 얼마후 작은 부은 액체가 작은 유리 비이커를 잠길정도로 충분히 부으면 작은 비이커는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 것일까? 다름아니라 액체의 굴절율과 유리 비이커의 굴절율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유리의 굴절율이 대략 1.5이기 때문에 액체의 굴절율을 1.5로 맞추면 마치 마법처럼 유리 비이커가 사라지게 되는 것인데... 굴절율 관련하여 아주 적절한 예를 비가 오는날 차량의 앞유리 (Wind Shield)에 물방울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리도 투명하고, 물도 투명하니깐 서로 투명한 물질끼리 겹치면 보이지 않아야 하는데 보이는 이유는 바로 유리의 굴절율은 앞서 말했듯이 1.5이고, 물의 굴절율은 1이기 때문에 ..

충격량과 부검

《 충격량과 부검 》 엊그제 광주의 건물이 무너져 사망하신 분들을 부검을 한다는것을 보면 실소를 금할수가 없다. 사망한 원인이 명확한대도 굳이 똥인지 된장인지를 확인하겠다는 시도가 놀랍고, 대한민국에 수많은 법의학자나 관련 과학자들이 아무 목소리를 내지 않는다는것도 참으로 놀랍다.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 근대 서양문명을 바로 세운 과학이란 존재가 발디딜 틈이 없고 과학은 철저히 무시되고 사이비만 판치는 사회가 되었다. 그도 그럴것이 광주에서의 뻔한 사망사고는 부검을 하는데 반해 물대포로 인해 백남기 노인이 안와골절로 사망사고가 났다는것은 부검을 하지 않고 서둘러 화장을 하여 부검할 기회조차 가지지 못하게 한 까닭은 무엇일까? 나는 백남기 노인이 물대포로 사망하지 않았다고 단정한다.. 왜냐? 그것은 고등학교..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