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과학 37

층류 (Laminar Flow)

유체의 규칙적인 흐름으로, 흐트러지지 않고 일정하게 흐르는 것이다. 난류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층흐름이라고도 한다. 공기가 흐트러지지 않고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난류는 그 반대이다. 예를 들면 가는 파이프에 물을 흘릴 경우, 잉크를 넣어 흐름의 상태를 관측하면 유속(流速)에 따라 레이놀즈수가 작을 때는 잉크의 흐름이 직선으로 나타나고, 물의 각 부분이 파이프벽에 평행으로 움직이며 서로 섞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이 층류이다. 또 담배를 피우면 담배에서 발생한 연기는 처음에는 거의 일자로 올라가다가 어느 정도 지나면 흐트러진 모습으로 퍼진다. 처음 상태를 층류라고 하고 나중 상태를 난류라고 한다. #아이비과학 #과학 #Laminar_Flow #층류 #난류 #레이놀즈수

시계반응 (Clock Reaction)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변색, 침전의 생성 등의 뚜렷한 변화를 일으키는 반응. 유도기(誘導期)를 가진 화학 반응의 특수한 경우이다. 예를 들면 KI, KIO3 및 KAsO2의 혼합 용액을 아세트산 및 아세트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완충액(pH 4~5)에 넣고 녹말 용액을 첨가하면 일정 시간 후 액체는 갑자기 청색으로 변화한다. 이것은 처음에는 완만한 반응이다. #아이비과학 #시계반응 #과학 #요오드 #화학반응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굴절율이 동일하면 발생하는 현상

유리 비이커안에 또다른 작은 유리 비이커를 넣고, 어떤 액체를 그안에 붓는다. 얼마후 작은 부은 액체가 작은 유리 비이커를 잠길정도로 충분히 부으면 작은 비이커는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 것일까? 다름아니라 액체의 굴절율과 유리 비이커의 굴절율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유리의 굴절율이 대략 1.5이기 때문에 액체의 굴절율을 1.5로 맞추면 마치 마법처럼 유리 비이커가 사라지게 되는 것인데... 굴절율 관련하여 아주 적절한 예를 비가 오는날 차량의 앞유리 (Wind Shield)에 물방울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리도 투명하고, 물도 투명하니깐 서로 투명한 물질끼리 겹치면 보이지 않아야 하는데 보이는 이유는 바로 유리의 굴절율은 앞서 말했듯이 1.5이고, 물의 굴절율은 1이기 때문에 ..

역사에서 배울수 있는 몇가지 키워드

《 역사에서 배울수 있는 몇가지 키워드 》 역사는 과학이 아니다. 따라서 현재의 이벤트가 역사적 사실과 닮아 있다고 해서 그대로 진행되리라는 보장은 없지만 역사적 사실을 통해서 미래를 바라볼수 있는 통찰력을 얻을수는 있을것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봉착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과거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바라보면 해결의 실마리도 얻을수가 있을지 않을까? 몇가지 키워드로 그 실마리를 찾아보도록 해보자. 1. 자기를 도와줄수 있는 사람을 확보 - 작은 사업이나 작은 정치를 할경우에는 보통 대표의 원맨쇼(자질)에 의존하는 경우가 커진다. 하지만 사업 규모가 커지고, 전국단위의 큰 정치를 하거나 정권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대표가 아닌 조직의 힘이 탄탄해져야 한다. 조직의 힘을 키워나가기 위해서는 종업원이든, 파트너이든..

728x90
반응형
LIST